제주 제주시 슬레이트 철거 후 주방, 욕실 개선 항목 확대 안내
제주 제주시의 노후 주거지는 슬레이트 지붕이 남아 있는 비율이 높고, 동시에 내부 시설이 오래된 주택이 많아 전반적인 주거 환경 개선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1980년대 이전에 지어진 단독주택 중 상당수는 주방과 욕실 구조가 협소하고, 배관이나 타일 마감이 낡아져 위생상 문제를 야기한다. 슬레이트 지붕은 석면이 포함된 고위험 자재로 철거가 필수지만, 철거 이후 실내 구조가 노출되면 내부 공간의 노후 상태도 함께 드러나게 된다. 이런 배경 속에서 제주시에서는 슬레이트 철거 사업을 ‘내부 생활 공간 개선’과 연계해 주방·욕실 리모델링까지 포함하는 확장형 정책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2025년부터는 슬레이트 철거 대상자 중 고령자 가구, 다자녀 가구, 저소득층에 대해 주방과 욕실 개선 공사를 동시 지원하는 시스템을 확대 시행할 예정이다. 본 콘텐츠에서는 제주시 슬레이트 철거 이후 주방 및 욕실 개선 항목의 구조, 주요 시공 방식, 신청 조건과 절차를 정보 중심으로 정리한다.
슬레이트 철거 연계 주방·욕실 개선의 필요성과 기본 구조
슬레이트 지붕을 철거하는 과정에서 지붕과 연결된 배관, 환기 덕트, 천장 배선 등이 노출되며, 이 시점에 주방이나 욕실의 구조 개선도 병행하면 시공 효율이 극대화된다. 특히 노후주택의 주방과 욕실은 공간 자체가 좁고, 방수층이 손상되어 곰팡이와 악취가 발생하거나 배수 기능이 저하된 경우가 많다. 또한 고령자 가구의 경우 미끄러운 욕실 타일, 턱이 있는 출입구, 낮은 수납장 구조 등이 생활 불편의 원인이 되므로 실질적인 구조 개선이 필요하다. 제주시는 슬레이트 철거와 동시에 주방·욕실 공사를 시행할 수 있도록 설계·시공 일정을 연계 운영하며, 단열재 교체, 방수층 재시공, 수전류 및 위생기기 교체, 조리대와 수납장 교체 등이 주요 시공 항목에 포함된다. 특히 욕실은 방수층 재시공과 함께 안전 손잡이, 미끄럼 방지 타일, 샤워부스 분리 시공 등이 함께 적용되며, 주방은 싱크대·가스레인지·환기구·조명 개선 공사가 동시에 진행된다.
주요 시공 항목 및 적용 자재 기준
제주시의 연계 공사 기준에 따라 주방 개선 항목에는 스테인리스 싱크대 교체, 고효율 절수형 수전, 강화 플라스틱 상판 적용, LED 조명 설치, 내후성 환기창 교체 등이 포함된다. 욕실 개선 항목에는 욕조 철거 후 샤워부스 분리, 무빙 샤워기 설치, 항균 타일 마감, 방수 도막 이중 시공, 세면대 및 양변기 교체, 세척 가능한 환기팬 설치가 포함된다. 특히 방수 성능 향상을 위해 벽면은 고탄성 방수 몰탈, 바닥은 폴리우레아 도막재를 적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이 외에도 욕실 안전 손잡이, 휠체어 진입이 가능한 턱 제거, 좌식 세면대 옵션 등 고령자 맞춤형 설비 항목도 함께 반영된다. 제주시는 실내 공간의 습기와 곰팡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환기 설비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시공 기준을 재설계했으며, 2025년부터는 슬레이트 철거 대상 중 일정 기준 이상의 위생 설비 노후도가 확인된 가구는 자동 연계 대상으로 분류된다. 자재는 모두 KS 인증 제품으로 제한되며, 욕실 마감재와 배관 자재는 내식성·항균성을 기준으로 지정된다.
지원 대상, 신청 절차 및 보조금 구조
슬레이트 철거 및 주방·욕실 개선 연계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제주시 관내 슬레이트 지붕 단독주택의 소유자이자 실거주자여야 하며, 건축물대장상 슬레이트 지붕이 확인되어야 한다. 슬레이트 철거 면적이 20㎡ 이상일 경우 석면조사보고서가 필요하며, 이는 제주시가 위탁한 기관에서 무상 수행한다. 실내 공간 개선 항목은 슬레이트 철거 신청 시 함께 접수 가능하며, 주방·욕실 노후 상태가 현장 실사에서 확인되면 공사 항목에 자동 포함된다. 신청은 매년 1월부터 3월까지이며, 제주시청 건축과 또는 읍·면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신청서, 주민등록등본, 건축물대장, 실내 사진 자료를 함께 제출하면 실사 후 시공 항목이 확정된다. 슬레이트 철거와 함께 주방·욕실 개선을 포함할 경우, 가구당 최대 1,500만 원까지 보조금이 지급되며, 고령자나 장애인, 기초수급 가구는 자부담 없이 전액 지원받을 수 있다. 공사 완료 후에는 위생·방수·전기 안전에 대한 검수가 이뤄지며, 1년 내 무상 A/S가 제공된다.
'지자체별 노후 주택 개보수 지원 사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 가평군 산림 인접 마을 슬레이트 지붕 집중 철거 계획 안내 (0) | 2025.07.09 |
---|---|
전남 해남군 슬레이트 철거 후 전기 안전 설비 개선 연계 안내 (0) | 2025.07.09 |
충북 단양군 고령자 가구 슬레이트 철거 후 실내 환경 개선 지원 내용 정리 (0) | 2025.07.08 |
경북 성주군 슬레이트 철거 후 방수, 결로 보완 시공 안내 (0) | 2025.07.08 |
강원 영월군 슬레이트 철거 연계형 고효율 단열재 시공 기준 안내 (0) | 2025.07.08 |